공부

~~로서와 ~~로써의 차이점

대도 2007. 7. 23. 14:36

 

'(으)로써'와 '(으)로서'는 그 발음이 비슷하고

그 쓰이는 환경까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

흔히 '(으)로써'는 기구격 조사라 하고,

       '(으)로서'는 자격격 조사라 합니다. 

'기구격'이란 것은 '도구나 수단'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낫'이라는 명사와 '벤다'라는 서술어가 있을때

 '낫'은 '벤다'라는 행위에 대하여 수단, 즉 기구가 됩니다.
낫은 풀을 베는 데 쓰는 도구이죠. 이런 때 '낫으로써 벤다'와
같이 조사 '(으)로써'를 써서 표현합니다.

 

 '자격격'이란 것은 '지위나 신분'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낫'과 '쓸모가 없다'라는 말이 있을 때 '낫'은

'쓸모가 없다'는 서술어에 대하여 도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자격이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는 '낫으로서 쓸모가 없다'로 써서
신분이나 자격을 나타냅니다.

가령 '사람으로써'와 '사람으로서'는 두 경우 모두 맞는 말입니다.

단 어떤 조사를 쓸 것인지는 문맥을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예) 사람에게 받은 상처는 사람으로써 치유한다.  (기구격)
      효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다. (자격격)